고유석

(책) 청소년 상담의 이해/ (책)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논문) 청소년 스트레스 요인분석에 따른 기독교 상담학적 방안


Ch.1[청소년 상담의 이해]

  1. 청소년 상담의 개념
  2. 청소년 상담의 특징
  • 청소년기는 발달 단계임 (올바른 인격 형성 및 발달) 
  • 부모로부터의 독립, 정체성 형성, 성적・사회적 안정화, 직업 및 자율성과 관련된 인생 목표의 설정 등을 고려해야 함
  • 성인에 대한 폐쇄적 거부반응이 있을 수 있음 


  1. 청소년 상담의 정의

청소년 상담은 성장기에 일어나는 청소년의 사회 적응과 잠재 능력을 개발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전문적인 활동. 

청소년들은 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기 때문에 원활한 상담을 위해선 수평적인 관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

  1. 청소년 상담의 목적 

직면한 문제의 해결 및 예방을 넘어서 차후의 스스로의 성장을 목적으로 요함. 

  1. 청소년 상담의 목표와 필요성
  1. 청소년 상담의 목표 
  • 건강한 성장과 발달 촉진 
  • 문제 해결 및 의사결정 
  • 잠재력 개발 
  • 관계 개선 
  • 위기 해소 


  1. 청소년 상담의 필요성 
  • 정신적 독립과 자아정체감의 형성 추구 
  • 급격한 신체적 변화로 상충된 역할기대로 인한 혼란 
  • 동시 다발적인 관심 
  • 환경으로부터 지배적인 영향 


Quiz

  1. 청소년 상담의 특징, 정의, 목적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내용은 무엇일까요?
  2. 청소년 상담의 필요성에서 청소년의 특징으로 나오는 내용은 무엇이 있나요? 
  3. 청소년 상담에 대한 특징과 필요성을 한 마디로 정리해본다면?



  1. 청소년 상담의 유형
  1. 상담방식에 따른 분류 
  • 대면상담 
  • 매체상담
  1. 상담형태에 따른 분류
  • 개인상담 
  • 집단상담
  • 가족상담   
  1. 상담기간에 따른 분류 
  • 단회상담 
  • 단기상담 
  • 장기상담 


  1.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
  1. 신체적 특징 
  • 남자 

→ 어깨, 변성, 근육

  • 여자 

→ 가슴, 골반, 피하지 방

  • 종합 : 성적 관심이 높아짐, 스스로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주관적 평가에 따라 자기신체상과 성적 정체감 형성을 시작함, 성적 정체감, 성격 


  1. 인지적 특징 
  • 자아중심적 성향 

생각 자체를 검토하는 능력으로 다른 사람의 시선을 아주 예민하게 반응한다. 

  1. 정서적 특징 

전기

  • 감정이 격하고 기복이 심함
  • 긍정적・부정적 감정이 교차됨  
  • 자신감과 수치심을 강하게 경험함

후기 

  • 본질적인 인격에 대한 의문
  • 자아정체감 형성 (안정) 

 

  1. 대인관계적 특징 
  • 단짝관계 형성 및 관심 변화 
  • 이성과의 애정관계 형성 
  • 부모보다 친구들과 더 많은 시간을 공유하길 원함 


  1. 청소년 상담의 기본 원리 
  1. 개별화의 원리 
  • 상담자는 편견과 선입견을 갖지 않는다. 
  • 청소년 내담자의 말을 경청하고 세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 청소년 내담자의 속도에 맞추어 진행해야 한다. 
  • 청소년의 감정 변화를 민감하게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1. 의도적 감정표현의 원리 
  • 어려움을 경험하는 상태에서는 감정을 충분히 드러내기 쉽지 않음 

⇒ 지지하고 격려하며 경청해서 자유롭게 의도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인도함

  1. 비판단적 수용의 원리 
  • 청소년 내담자의 문제를 평가하고 심판하는 등의 판단적 태도를 갖지 않도록 함
  • 청소년 내담자의 존엄성을 존중함 
  • 청소년 내담자가 삶의 주체임을 인정할 수 있도록 도와줌


  1. 자기결정의 원리 
  •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 선택・의사결정
  • 자기결정 권리


  1. 비밀보장의 원리
  • 내담자에 대한 정보를 존중함
  • 신뢰감 형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


  1. 청소년 상담자의 자질
  1. 인간적 자질 


  • 상담의 성공유무는 내담자의 인간적 자질이 큰 영향을 미침
  • 태도 : 인간에 대한 깊은 관심, 자기성찰적 태도 
  • 능력 : 감정 인식 및 수용 능력, 인간관계 형성 및 유지 능력, 원숙한 적응력
  1. 전문적 자질 
  •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 청소년 상담이론에 대한 이해와 실습 및 훈련

⇒ 청소년이 공통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것은 발달특성이었던 것일 수 있음

 

  1. 청소년 상담자의 윤리 
  • 내담자 보호 
  • 윤리적 판단의 현명한 선택과 결정
  • 미성년자 vs 성인의 상황에서 민감한 윤리의식 탑재 필요 
  • 전문적 관계 외의 다른 관계를 맺지 않는 것

Ch.1[청소년 상담의 실제]

  1. 내담자의 기본 정보 
  2. 내담자 인적 사항

여, 16세, 중학교 3학년, 1남 1녀 중 막내

  1. 내담자 상담 경위

내담자의 어머니가 그동안 공부를 잘해 왔던 내담자가 갑자기 학원을 그만두겠다고 하고 공부가 하기 싫다고 하는데 이유를 몰라 상담을 의뢰하였다.

  1. 주 호소문제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되지 않는다. 친구들과 비교되어 더 하기 싫다. 엄마가 불쌍하면서도 화가 난다. 

  1. 가족관계

부48세⇒ 무뚝뚝, 말수가 적음, 가정에 무관심, 양육에 대한 책임을 아내에게 돌림.  모-46세 ⇒ 직접적인 양육자, 회사를 다님, 말이 매번 바뀜, 공부에 대한 높은 기대.오빠-20세⇒ 대화가 없음, 오빠에 대한 애정이 없음.나-16세 


  1. 상담자가 본 내담자 문제 이해

     공부의 필요성은 알지만, 집안의 문제와 압박으로 인해 공부에 대한 거부감이 생겼다. 그러나 공부를 저버렸다는 자신의 모습에 대한 문제까지 의식하면서 더 높은 자기비하와 절망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공부를 한 이유도 엄마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공부를 열심히 해 왔으며, 학원에서의 인정이 적어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압박감 또한 있었다. 

  1. 상담의 진행 
  1. 상담 목표 및 전략 
  2. 상담목표
  •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는 원인을 안다. 
  • 친구와 비교하게 되는 자신을 이해한다. 
  • 어머니에 대한 감정을 알고 표현한다. 
  1. 상담전략
  • 공부와 관련된 경험, 가족 및 대인관계 탐색을 통해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를 탐색한다. 
  • 내담자의 학교생활(성적 등) 탐색을 통해 내담자의 말을 확인하고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돕는다. 
  • 친구와의 비교를 통한 좌절감을 충분히 표현하고 수용받는 경험을 한다. 
  • 공부 이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자각하여 좌절에 대한 현실적인 대처 방안을 갖도록 한다. 
  • 어머니에 대한 감정을 자각하고 표현 방법을 찾아 시도해 본다. 


  1. 상담내용(총 14회)

     대안 

  • 상담이 목표 달성 혹은 합의에 따라 종결하지 못한 경우, 마지막 회기에 내담자가 자신의 상담과정을 돌아보고 상담과정에서 얻은 것과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 스스로 정리하고 자각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 내담자의 주도적인 문제 해결 능력 필요. 

  • 내담자가 자신의 불안을 다루기 위해 어학연수를 가서 적응하는 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미리 예상해 보는 것도 내담자의 적응을 위해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내담자의 향후 발생할 일까지 챙겨주는 것.  

  • 상담자는 청소년들이 공부, 진로 등의 문제를 주 호소문제로 상담을 의뢰되었다 하더라도 호소문제가 내담자의 현재의 어려움을 드러내는 증상이며, 이면에 가족문제와 같은 다양한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하겠다. 

⇒ 복합적인 문제를 파악 후 해결.

  • 가족 간의 문제로 인해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는 내담자와 같은 경우는 가족상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 

⇒ 결과의 원인을 파악 후 해결.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Ch1. 서론>


  1. 그림검사의 역사

간략소개언어로 사람의 마음을 다 알아채는 것은 한계가 있는데, 그 한계를 비언어적 언어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심리검사 방법이 그림검사(HTP)라고 할 수 있다. 정식 명칭 : “House-Tree-Person test 투사적 검사” 

창시자 (프로이트, 융) 

<프로이트> - 문제인식 및 필요성 인지 


<융> - 문제해결 및 기반마련

최초로 실행한 학자 (굳이너프)

→ DAM 검사 : Draw-A-Man, 지능 뿐만 아니라 성격 특질까지 드러내준다는 것을 알게 됨          그림검사의 발전     HTP검사 → 창시자 : 존 벅

  1. 투사적 그림검사의 종류
  2. 사람 그림검사 
  3.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4. 색채화 검사 
  5.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6.  동물 그림검사 
  7. 자화상 검사 
  8. 부가적인 인물 검사


  1. 투사적 그림검사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정신분석적 관점

인간의 행동이 무의식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이것이 표현되는 것은 그림이다. 마코버 학자 

  • 사람 그림 :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가 
  • 종이 : 환경
  • 신체상이 발달 및 투사됨으로써 내면화 됨.. 그 내면화가 그림에 드러나게 됨. 


          레비 학자 

  • 집 : 공상, 자아, 현실과의 접촉, 현실에의 접근 가능성, 가정생활, 가족 내부 관계, 유년기 부모와의 관계
  • 나무 : 신화, 종교, 전설, 무속 등에서 인생과 성장을 상징. 


          해머 학자 

  • 투사란 ? 

인간이 자신의 특성, 느낌, 태도와 갈망을 환경 속의 대상에 귀인시키는 심리적 역동으로 정의. 

  1. 자기-심리학적 관점

          코훗 학자

  • 아동의 과시적이고 웅대한 욕구 : 자기 존중, 인정 
  • 이상화하고 싶은 욕구 : 
  • 대체자아 : 자깆 사니을 타인과 유사하다고 느끼고 싶은 욕구


          르보위츠 

  • 성숙한 자기를 나타냄 
  • 발달적 결함 혹은 결핍의 현상 
  • 자기분열과 인지적・정서적・행동적


  1. 현상학적 관점 

아동의 관점에서 그림에 접근하고 이해하려는 노력 필요. 

  • ‘모른다'는 태도를 취하는 것
  • 발달적 측면들 (인지적 능력, 정서발달, 대인관계 기술, 신체발달 등)


  1. 사회학적 관점 

데니스 그림에는 사회문화적 가치와 선호도가 반영됨. 


  1. HTP의 실시방법 


  1. 집 그림 

준비물 : A4용지의 백지(가로방향), 연필, 지우개눈여겨볼 점

  • 가로가 아닌 세로로 그릴 시 
  • 시간제한 없음 (걸린시간 기록)
  • 사후질문에 대한 아동의 대답을 그대로 기록함 
  1. 누구의 집인가? 
  2. 누가 살고 있는가? 
  3. 이 집의 분위기가 어떠한가? 
  4.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5. 나중에 집이 어떻게 될 것 같은가? 


  1. 나무 그림 

준비물 : A4용지의 백지(세로방향), 연필, 지우개     눈여겨볼 점 

  • 시간제한 없음 (걸린시간 기록)
  • 사후질문에 대한 아동의 대답을 그대로 기록함 
  1. 이 나무는 어떤 종류의 나무인가? 
  2. 나무의 나이는 몇 살인가? 
  3. 나무가 죽었는가 살았는가? 
  4. 나무의 건강은 어떠한가? 
  5. 나무 주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6. 나무의 소원은 무엇인가? 
  7. 나중에 이 나무는 어떻게 될 것인가? 
  8. 나무를 그리면서 생각나는 사람이 누구인가? 


  1. 사람 그림

          준비물 : A4크기의 백지(세로방향), 연필, 지우개                눈여겨볼 점 

  • 책상에 다른 물건 놓지 않음
  • 사람 전체를 그릴 것
  • 졸라맨, 막대기 사람, 만화 주인공 등은 허용하지 않음
  • 그림 속 사람의 반대 성을 가진 사람을 그리도록 지시함
  •  시간제한 없음 (걸린시간 기록) 
  •  사후질문에 대한 아동의 대답을 그대로 기록함 
  1. 이 사람은 누구인가? 
  2. 이 사람은 몇 살인가? 
  3. 이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4. 이 사람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5. 이 사람의 기분은 어떠한가? 
  6. 이 사람의 소원이 있다면 무엇일까? 
  7. 나중에 이 사람은 어떻게 될 것인가? 


II.  그림의 구조적 해석방법 

  1. 그림을 어떻게 그려나갔는가
  2. 그림의 크기가 적절한가
  3. 그림을 종이의 어느 위치에 그렸는가 
  4. 연필을 얼마나 힘주어 눌러 그렸는가
  5. 선의 질이 어떻나가
  6. 그림의 세부 특징을 어떻게 묘사하였는가
  7. 그림을 그리다가 지운 적이 있는가
  8.  그림의 대칭적인 측면을 강조했는가 
  9. 눈이나 코 혹은 창문과 같은 그림의 일부분을 왜곡하거나 빠뜨린 것이 있는가
  10. 척추뼈가 보이게 사람을 그리는 등 투명성이 나타났는가
  11. 그림의 대상이 움직이고 있는 모습으로 그렸는가
  12. 종이의 방향을 돌려가며 그렸는가
  13. 그리라고 지시한 것 이외의 것을 더 부가해서 그렸는가 

예제 텍스트



(논문) 청소년 스트레스 요인분석에 따른 기독교 상담학적 방안

  1. 스트레스의 일반적 개념이해 

스트레스(Stress)의 어원은 수세기 동안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14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러서 의학적 의미가 첨부되어, 좋지 않은 건강상태나 정신질환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별히 1980년부터 스트레스학이라는 학문의 영역이 등장했다. 그렇게 스트레스에 관련한 연구 논문과 저서는 현재 수십만 건에 이른다. 하지만 여기서 완전한 스트레스의 회복은 끝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Hans selye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다. “삶의 순간 가운데 인체에 주어지는 내적, 외적 자극에 의해 가해지는 어떤 요구에 대한 비 특정적인 생리적, 심리적 반응”이라고 스트레스를 정의한다. 이 말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근본적으로 개개인에 따라서 구별되어 정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스트레스의 기독교적 이해 

     인간이 타락한 이후, 하나님과 사랑의 관계가 끊어지면서 고립을 경험하게되었다. 그리고하나님의 본래 창조목적의 자아와 죄된 자아와 대립하는 상태에 빠지게 되며 스트레스와 고통으로 채워진다. 

     신학자 Paul Tillich에 따라서 인간에게 주어진 스트레스는 심리 영적인 부족에서 비롯된존재론적 문제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가 주장하는 존재론적 불안의 세 가지는, 첫 번째 죽음과 운명의 위협, 두번째 죄책감과 정죄의 경험, 세 번째 삶에서 당면하는 공허와 무의미를 가리킨다.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 (약 1:15)     “마음의 즐거움은 양약이라도 심령의 근심은 뼈를 마르게 하느니라” (잠 17:22)

I BUILT MY SITE FOR FREE USING